The 7 habits of highly effective people(이하 '7habits')을 읽은것은 대학교 4학년때(2002년)가 아닌듯 싶다. 대학 선배가 교수님이 읽던 책을 읽고 나한테 추천해줬었는데 '소중한것부터 먼저하라' 와 같은 것이 그때는 가장 가슴에 와닿았었다. 내가 대학 선후배들과 개인 성과 관리라는 주제에 맞추어 다시 공부를 하고, 나 또한 개인 performance가 상당히 떨어져 있다는 생각아래 공부를 다시 시작했다.

2007년말에 다시 읽은 7habits은 그 동안 내가 고민하던 것들에 대한 많은 답을 가지고 있음에 놀라울 뿐이었다. 나는 그 동안 세상엔 변하지 않는 원칙(principles)이 있다는 것을 계속 주장해 왔으며, 가끔 이런 말로 친구랑 언쟁도 하고 그랬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원칙(principles)을 부정하거나 원칙이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정작 인정해야할 원칙앞에서는다양성(diversity)이라는 개념같은 것으로 희석시킬려고 한다. 하지만 세상엔 변하지 않는 원칙이 있으며 이러한 원칙을 지키지 않고서는 올바른 삶을 살수가 없다. 대학교 4학년때 고민없이 읽을때는 이러한 내용보다는 실제 시간을 어떻게 관리하고 대인관계는 어떻게 늘려나가고에 더욱 관심이 갔던게 사실이다. 하지만 5년이 지난 지금 이 책을 다시 읽었을 때는 '내면으로부터 시작하라'라는 처음 부분이 너무나 감명 깊었다.

내면으로부터 시작하라(INSIDE-OUT)

사람들은 효과적이며 기술적인것을 좋아한다. 이는 적은 노력으로 빠른 결과를 바라는 인간의 이기적인 심리때문이다. 하지만 물리학에 중력의 법칙이 있듯이 인간세계에서도 현실적이고 논란의 여지가 없는 자연의 법칙을 거스를순 없다. 씨를 뿌리고 거름을 주고 잘 기르지 않는한 추수란 없는것과 같다. 성격윤리(Personality ethics)와 성품윤리(Character ethics)는 바로 이러한 것을 말하며 이것은 서로 동등한 수준의 것이 아니라 Character ethics은 personality ethics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는게 타당하다. 즉 종속관계(subordinate relationship)라는 것이다.

개인의 성과, 대인관계 모두 테크니컬한 방법으로는 절대 근본적으로 바꿀수 없다.

남의 말을 들어 주기 위해서 한타임 쉬고 말하라
우선순위를 정하고 일을 시작하라.. 등은 테크니컬한 얘기다.

내가 남의 말을 들어주는 척만 한다면 그것은 진정으로 듣는 것이 아니다.
공감적 경청이 필요한데 그러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패러다임과 그를 존중하는 마음이 기반으로 깔려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고서는 상대방은 바로 당신이 듣는 척만 한다는 것을 눈치챌 것이며 이는 결코 효과적이라고 볼 수 없다.

우선순위를 정하고 일을 시작하는 것 또한 마찬가지이다. 우선순위란 개인이 바라보는 패러다임과 원칙과 성품에 기초하고 있다. 만약 이러한 성품과 원칙, 패러다임이 잘못되어있다면 이는 소중하지도 않은 것을 소중하다고 생각하고 열심히 하는 결과만 초래한다.

이렇듯 내가 효과적인 사람이 되기위해서는 이러한 원칙 중심적이며 올바른 패러다임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것이다.

우리는 매일 영어를 잘하기 위해서 하루에 영어 기사를 읽던지 리스닝을 한다. 매일 운동을 한시간씩 한다.
하지만 왜 좋은 성품을 가지기 위해서는 노력하지 않는가?

테크니컬한것도 중요하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이러한 본질이다.
씨뿌리는 것을 거부하고 추수만 하려고 하는 것은 참으로도 넌센스다.

매일 이러한 성품을 갈고 닦고 자신만의 원칙과 올바른 패러다임을 갖추기 위해서 하루 1시간 명상(meditation)을 한다던지 성경을 읽는다던지, 영감(inspiration)을 불러 일으키는 좋은 음악을 듣는다던지, 아니면 나의 role model인 분과 대화를 한다던지...등의 과정이 필요하다

앞으로 여러번에 걸쳐서 7habits을 정리할까 한다

Posted by ahnT
,
1. 결합서비스
2. VOD서비스
3. MMS
4. 가격경쟁
5. HD(고화질)
6. 콘텐츠

여기서 왜 IPTV는 빠졌지? 이미 진행되고 있다고 본건가? 어찌되었건 저렇게 6개라고 한다
결합서비스와 가격경쟁은 동일하거나 서브인 관계로 생각해도 괜찮을듯 하다

관련 기사 링크
Posted by ahnT
,
세계 최고의 광고회사의 원칙이란다
이런말들은 다 마찬가지겠지만 상당히 공감가는 이야기다
정신 운동에 좋은 이야기 이다


1. 일은 스스로 만드는 것이지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2. 먼저 선수를 쳐라. 수동적으로 하지 마라.

3. 큰일을 해라. 작은 일은 자신을 작게 만든다.

4. 어려운 일을 목표로 삼아라. 그래야 발전이 있다.

5. 일단 시작하면 놓지 마라. 완수할 때까지 죽어도 놓아선 안 된다.

6. 주위 사람을 이끌어라. 이끄는 것과 끌려가는 것은 하늘과 땅 차이다.

7. 계획을 세워라. 장기 계획을 세우면 인내와 지혜, 노력과 희망이 생긴다.

8. 자신을 가져라. 자신이 없으면 박력과 끈기, 깊이가 모두 사라진다.

9. 늘 깨어 있는 머리로 다방면에 신경 쓰고 한 치의 틈도 보이지 마라.

10. 마찰을 두려워 말라. 마찰은 진보의 어머니이며 적극성의 비료다.

     마찰을 두려워하면 비굴하고 미련한 사람이 된다.

Posted by ahnT
,

8. 시간을 관리하는 방법

효과적인 지식근로자는...
 
첫번째, 자기가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이 실제로 어느 정도인가를 파악하는 데서 출발한다
두번째, 그 다음에 시간을 관리하는데, 시간을 빼앗는 비생산적인 요구들을 잘라낸다.
마지막으로 그렇게 해서 얻어진 활용 가능한 시간을 가능한 가장 큰 연속적 단위로 통합한다

이를 간단히 요약하면...
시간을 기록한다
시간을 관리한다
시간을 통합한다

시간을 낭비하게 만드는 것

불필요한 회의, 모임, 회식, 전화, 이메일 체크 등
최소 요구 수준 이하의 시간을 퉁힙하는 것은 아예 시간을 하나도 투입하지 않은 것보다 더 나쁘다
결국 아무것도 달성하지 못하고 다시 시작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상당한 양의 연속적인 시간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1) 실제 사용 시간을 기록한다
   - 본인이 사용한 시간을 기록하고 정기적으로 살펴본다
   - 그렇다면 많은 시간들이 쓸데 없는 일에 낭비하면서 흘려보내고 있는 사실을 알게된다

2) 시간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시간 낭비 요인을 제거한다

아래와 같은 질문을 던져서 시간을 관리해야 한다

질문 1. 이 일을 시작하지 않았더라면 어떤 일이 일어났을까?(쓸데없는 일을 하고 있지 않나?)
   - 만약 이 질문에 '아무 문제 없다'라면 당장 그 일을 그만둔다
   - 아무런 공헌도 하지 않을 활동에 NO라고 말해야 한다

질문 2. 내 시간운용표에 기록된 활동들 가운데, 다른 사람이 나보다 더 잘하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 나만큼은 잘할 수 있었던 일은 어떤 것인가?(위임이 가능한 일인가?)

질문 3. 내가 하는 일 가운데 당신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아무런 도움도 되지 않으면서 당신의 시간만 낭비하게 하는 일은 없는가?(남의 시간을 빼앗고 있지는 않은가?)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위기는 절차화 시켜서 문제를 해결하는데 반복적으로 들어가는 시간 낭비를 예방해야한다

절차라는 것은 대단히 유능한 사람이 과거의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배운 것을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형태로 집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3) 자유 재량 시간을 통합한다

기록과 분석에 의해 밝혀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 자신의 통제 아래에 있는 시간을 연속적으로 묶어야 한다

예) 일주일에 하루는 입에서 일을 한다
     회의, 토론은 월, 금에 하고 나머지 근무일의 오전은 중요한 일에 연속적으로 몰두한다 등

마감일을 필히 정해서 일이 진행되도록 해야한다. 마감일을 지키지 못한다는 것은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시그널이다

Posted by ahnT
,
전혀 할 필요가 없는일, 즉 어떤 결과도 거둘 수 없는 완전한 시간 낭비형 일을 찾아내서 제거해야 한다

1. 이 일을 시작하지 않았더라면 어떤 일이 일어났을까?
  • 만약 이 질문에 '아무 문제 없다'라면 당장 그 일을 그만둔다
  • 아무런 공헌도 하지 않을 활동에 NO라고 말해야 한다

2. 내 시간운용표에 기록된 활동들 가운데, 다른 사람이 나보다 더 잘하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 나만큼은 잘할 수 있었던 일은 어떤 것인가?

3. 내가 하는 일 가운데 당신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아무런 도움도 되지 않으면서 당신의 시간만 낭비하게 하는 일은 없는가?

Posted by ahnT
,

프로페셔널의 조건 중 '중요한 것에 집중하라'에서 처럼 시간 관리 나 원칙 관점이 아닌 심리적 관점에서는...

집중하지 못하는 이유는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이 지금 해야되는 일인가?에 의심을 하기 때문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일의 중요함을 따져서 우선순위를 명확히 해야하며, 정해진 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일을 진행할 때 절대 의심하지 않아야 한다.

우선순위를 정하고 명확히하고 의심하지 않기 위해서는 본인의 원칙이 확고해야하며 이러한 원칙들에 기반하여 목표가 설정되고 우선순위가 메겨졌을 때 내가 확신을 가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목적한 바를 이룰때까지 절대 일을 끊어서는 안된다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이 가장 중요한 일이 될 수 있도록 구조화하고, 시작했다면 가장 중요한 일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라


Posted by ahnT
,

The Efficiency Curve

자기계발 2007. 12. 18. 09:35
비행기가 이룩하기 위해서는 높은 추진력을 필요로 한다. 연료도 이때 제일 많이 소모된다. 효율도 마찬가지이다. 일단 이륙이 어렵지 이륙만하면 적은 연료로 높은 효율을 낼 수가 있다. 하지만 우리는 비행기가 뜨기전에 엔진을 끄고 켜는 것을 반복한다. 습관적이고 무의식적으로 말이다.

The Efficiency Curve
By: Brian Tracy

The more you discipline yourself to working non-stop on a single task, the more you move down the "Efficiency Curve." You get more and more high quality work done in less and less time.

Each time you stop working however, you break this cycle and move back up the curve to where every part of the task is more difficult and time consuming.
 


Self-Discipline Is the Key
Elbert Hubbard defined self-discipline as, "The ability to make yourself do what you should do, when you should do it, whether you feel like it or not."

In the final analysis, success in any area requires tons of discipline. Self-discipline, self-mastery and self-control are the basic building blocks of character and high performance.

The True Test of Willpower
Starting a high-priority task and persisting with that task until it is 100% complete is the true test of your character, your willpower and your resolve.

Persistence is actually self-discipline in action. The good news is that the more you discipline yourself to persist on a major task, the more you like and respect yourself, and the higher is your self-esteem.

And the more you like and respect yourself, the easier it is for you to discipline yourself to persist even more.

 "Accomplish More in a Year Than Most People Accomplish in a Month"

Your ability to discipline yourself "to do what you should, when you should do it, whether you feel like it or not," is the key to becoming a great person and living a great life.

When you develop the habits of self-discipline, you will accomplish more in a month than most people accomplish in a year.

The Miracle of Self-Discipline
Learn how to practice higher levels of self-discipline and self-control in every area of your life.


Focus Clearly on Your Number One Task
By focusing clearly on your most valuable task and concentrating single-mindedly until it is 100% complete, you actually shape and mold your own character. You become a superior person.

You become a stronger, more competent, confident and happier person. You feel more powerful and productive.

Build Your Self-Confidence
You eventually feel capable of setting and achieving any goal. You become the master of your own destiny. You place yourself on an ascending spiral of personal effectiveness on which your future is absolutely guaranteed.

And the key to all of this is for you to determine the most valuable and important thing you could possibly do at every single moment and then, "Eat That Frog!"

Action Exercises
Once you start your most important task, discipline yourself to persevere without diversion or distraction until it is 100% complete. See it as a "test" to determine whether you are the kind of person who can make a decision to complete something and then carry it out. Once you begin, refuse to stop until the job is finished.

 "How to Build Rock Solid Self-Confidence and Achieve all of Your Goals"

You probably already know that the most successful people have incredible levels of self-confidence. They've accomplished great levels of success and happiness in their lives and seem to be unstoppable in everything that they do.

The fact is, that when you develop unshakable self-confidence your whole world will change for the better.

You'll have the confidence to take whatever steps necessary to earn more money and enjoy a higher standard of living. You'll be more powerful and persuasive with other people. And you'll be more popular and likable.




Posted by ahnT
,

피터드러커는 자신을 무능하게 만드는 무식을 불러일으키는 지적오만(intellectual arrogance)를 바로 잡는데 피드백 분석을 사용하라고 권한다

여기서 지적 오만은 특정 분야의 지식이 높은 사람들이 다른 분야의 지식을 경멸하면서 발생한다고 설명해주고 있다.

나는 지적 오만을 단순히 전문분야를 가진 사람이 어렵게 이야기를 현학적으로 풀어가려고 한다거나 본인의 전문분야 이외의 것을 무시한다는 것보다 더 많은 범위를 포괄하고 있다고 말하고 싶다

단순히 말해 우리는 정말 뛰어난 전문분야가 있지 않아도 이러한 지적 오만에 빠져있다.

많이 배운 사람일 수록..
머리가 좋은 사람일 수록..
논리적으로 다른 사람의 의견을 잘 반박하는 능력을 가질 수록..주로 이러한 사람들이 이러한 지적 오만에 빠지기가 쉽다

나를 포함하여 평범한 일반 사람들은 매우 귀중한 지혜 또는 지식을 정리한 내용을 보면서 "아 이미 다 아는 얘기가 아냐" 라고 오해를 한다

테크니컬한 방법으로 잘못된 성품을 치유할 순 없다
개인의 목표와 비전은 명확할 수록 좋다. 아니 명확해야만 한다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록하고 관리하고, 통합해야한다
중요한것부터 우선해라
MECE적 사고 방식을 가지고 문제를 잘개 쪼갠 후 겹치지 않게 한다
가설로 시작하여 이 가설을 검증하는 연역법을 사용한다
머리로 생각하고, 가슴으로 판단한다
내가 가진것에 감사하고 베푸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 등등

중요한 얘기를 할라치면 모두 다 아는 얘기로 치부한다
하지만 당연한것과 같은 이야기들이 정말 내가 알고있다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을까?

알고 있다 라는 사전적 의미는 "생각이나 감정 따위를 마음속에 가지다." 이다
마음속에 가지는 것만 가지고는 세상과 나를 변화시킬 수 없다.
지식근로자의 보고서는 이를 참조하여 행동화 되고 이것이 부가가치를 생산해줬을 때 그 의미를 다한 것이다
내가 안다고 자부하는 것 또한 마찬가지다. 내가 안다고 말할 수 있는것은 반사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그렇게 행동하고 가치를 생산하고 있을 때이다. 그래서 난  이 '안다'라는 의미를 좀 다르게 바꿔 썼으면 좋겠다

안다라는 의미
무엇을 생각하거나 행동하는데 내가 반사적으로 또는 무의식 적으로 자연스럽게 행동으로 나타나 지는것

그동안 많은 것들을 알고 있다는 지적오만에 빠져 있었다
답안지를 보고 있으면서 마치 내가 다 알고 있다는 우는 이제 그만 범하고 싶다

Posted by ahnT
,

10. 효과적인 의사결정 방법

 

효과적인 사람은 한번에 지나치게 많은 의사결정을 하려고 하지 않는다.

그들은 중요한 문제를 결정하는데 집중한다

단순한 문제 해결이 아닌 전략적이고 근본적인 차원을 생각하려고 노력한다

 

주어진 상황에서 변하지 않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한다

의사결정이 무엇에 관한 것인지, 그리고 그것이 해결해야 하는 실질적인 문제가 무엇인지를 알려고 노력한다

기교보다는 영향을 미치기 원하며, 단순한 영리함 보다는 건전한 분별력을 원한다

 

1)       문제의 종류를 파악해라

이것은 일반적인 문제인가? 예외 적인 문제인가?

이것은 자주 발생하는 기본적 문제인가? 아니면 개별적으로 대처해야 하는 특수한 문제인가?

 

일반적인 문제는 원칙에 따라 해결

예외적인 문제는 개별 대응, 그리고 원칙을 세움

 

의사결정 유형 네가지

첫째, 개별적인 사건은 단순히 하나의 증후이며 사실은 일반적인 문제

Ex)파이프라인의 물이 새는 문제. 땜질을 계속 하지 않으려면 계속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해야 함

 

둘째, 어떤 특정 조직에는 특수한 문제이지만 실제로는 일반적인 문제

Ex) M&A를 당한 기업은 특수한 문제지만 일반적으로 M&A는 늘 일어나는 일

다른 곳을 참조하여 처리가능

 

셋째, 진정 예외적인 일

Ex) 정전사태, 임산부용 진정제

 

넷째, 새로운 일반적인 문제가 나타날 것을 알려주는 초기의 예외적인 징후

Ex) 정전사태-예외적이지만 근본적 예방책이 없으면 반복되는 일

 

2)       의사결정의 목표를 만족시키는 경계조건을 명확히 해라

그 의사 결정을 통해서 성취하고자 하는 확실한 명세서를 만들어야 한다

의사결정을 통해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가 무엇인가?

그것이 얻고자 하는 최소한의 목표는 무엇인가?

그것이 만족시키고자 하는 조건은 무엇인가?

 

3)       무엇이 올바른 것인가에서 출발한다

타협을 해야 한다는 이유 때문에, 우리는 무엇이 수락 가능한가에 집중하면 안되고, 정말 옳은 답은 무엇인가를 먼저 고민해야 한다

 

4)       의사 결정을 행동으로 전환하라

의사결정의 초기 과정에서부터 행동 계획을 짜 넣지 않으면 효과적인 의사 결정을 내릴 수가 없다

이 결정을 알아야 할 사람이 누구인가? 누가 그것을 해야 하는가? 그 행동을 하게 하기 위한 행동은 무엇인가?

 

5)       피드백을 의사 결정과정에 포함시켜라

의사결정이 달성하고자 하는 기대 수준과 활동 결과를 지속적으로 비교해야 한다

 

견해가 의사결정의 출발점이다

사실에서 의사결정을 시작하는 것은 말이 안된다. 견해가 없으면 사실도 없다. 이는 맥킨지의 사고법과 동일하다. 견해=가정, 가정에서 출발하여 그 가정이 맞는지 틀린지를 검증하는 단계로 가야한다

 

효과적인 의사결정은 사실에 대한 합의가 아니라 공통의 이해와 대립적인 의견들 그리고 엇비슷한 대안들에 대한 진지한 검토를 통해서 도달하게 된다

 

가설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우리가 알아야 하는 것은?

 

몇 가지 대안이 있어야 비로서 진정 무엇이 문제가 되는지를 올바르게 판단할 수 있다

 

검토를 계속 여러 번 할 필요가 없다

한번 더 검토하면 뭔가 새로운 것이 나오리라고 믿을만한 이유가 있는가? 또 그 새로운 결정이 적절한 것이 되리라고 믿을 만한 이유가 있는가?

Posted by ahnT
,

9. 중요한 일에 집중하라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은 집중하는 것이다. 효과적인 사람들은 중요한 것부터 먼저하고 그리고 한 번에 한 가지 일만 수행한다

 

바쁘면서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는 이유

첫째, 그것에 필요한 시간을 과소평가한다

둘째, 급히 서두른다

셋째,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추진하려고 한다

 

노력을 집중하기 위한 제1의 법칙은 더 이상 생산적이지 않은 과거로부터 탈피하는 것

우리가 아직도 이 일을 시행하지 않고 있다면, 지금이라도 이 일에 착수해야 하는가? 만약 이 대답에 무조건 예스가 아니라면 이 일을 당장 중단하고 다른 생산적인 일에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

 

새로운 것을 강력히 추진하는 유일한 방법은 낡은 것을 체계적으로 폐기하는 것이다

 

먼저 우선 순위를 정하라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 아니다. 2차 순위-, 지금 당장 하지 않아도 될 과업을 결정하고 그것을 지키는 것이 어렵다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용기

우선 순위와 2차 순위를 결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것은 이성적 분석이 아니라 용기이다

 

과거가 아닌 미래를 판단 기준으로 선택하라

문제가 아니라 기회에 초점을 맞추어라

자신의 독자적인 방향을 선택하라

무난하고 쉬운 목표보다는 확연한 차이를 낼 수 있는 높은 목표를 세워라

 

효과적인 지식 근로자는 지금 당장 집중하고 있는 하나의 과업 이외에 집중하지 않는다

 

집중-진정 의미 있는 것은 무엇인가? 그리고 먼저 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라는 관점에서 때와 사건에 따라 스스로 의사결정을 하는 용기

Posted by ah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