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인구구조 문제를 짚어보고자 합니다. 재테크랑 인구구조가 무슨 관계가 있냐구요? 모르시는 말씀입니다. 인구구조의 변화만큼 재테크 환경에 막대한 영향을 주는 요소도 없습니다.
고령자의 증가는 전체 투자자의 투자 행태 변화를 촉발해 자산시장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옵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미국에서 주가가 급격히 상승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부터입니다. 전후(2차 세계대전) 베이비붐 세대들이 노후문제를 걱정하기 시작한 시점입니다. 기업은 기업대로 급격히 늘어나는 고령 근로자를 감당하기 어려워 평생 지급하던 퇴직연금에 대한 지원을 축소했습니다. 그러자, 개인들이 주식투자로 눈을 돌리기 시작했습니다. 은행 예·적금의 낮은 수익률로는 노후 생활이 도저히 안될 것 같아서죠.
우리나라 상황도 1980년대 미국과 흡사합니다. 1차 베이비붐세대(1956~1963년생)의 직장 퇴직 시점이 다가오고 있는데, 과거처럼 퇴직금이 두둑한 것도 아니고, 금리도 너무 낮아 예금만으로는 도저히 노후 준비를 기약할 수 없습니다. 그러니 자연 돈이 증시로 몰리는 것이죠. 이런 추세는 40, 50대 인구비중(현재 28%)이 향후 10년간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견되기 때문에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부동산 시장도 마찬가지입니다. 2010년 이후엔 1차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들이 대거 주택 신규 수요자로 등장하고, 그 이후엔 2차 베이비붐 세대(1968~ 1976년생)의 자녀들이 주택수요를 떠받칠 것으로 보입니다. 인구 집중 지역인 수도권 아파트 가격은 쉽사리 떨어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는 대목입니다.
또 전 연령층 중 자산을 가장 많이 보유한 40대 이상 인구 비중이 계속 늘어나는 것은 ‘주택 대체 수요(자녀가 성장함에 따라 더 큰 집으로 이사하는 것)’ 증가 요인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이런 대체 수요는 교육 환경이 좋은 서울 인기 지역 고가 주택에 대한 수요증가로 나타날 것입니다. 하지만, 인기 지역의 주택 공급은 각종 규제로 한정될 수 밖에 없습니다.
정부의 부동산 시장 규제 조치로 집값이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인기지역 아파트’는 계속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은 이런 분석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인구구조 변화에 기초해 장기적 관점으로 주식·부동산에 투자한 뒤 시장 상황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느긋하게 기다리는 자세도 지혜로운 투자 방법 중 하나입니다.
고령자의 증가는 전체 투자자의 투자 행태 변화를 촉발해 자산시장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옵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미국에서 주가가 급격히 상승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부터입니다. 전후(2차 세계대전) 베이비붐 세대들이 노후문제를 걱정하기 시작한 시점입니다. 기업은 기업대로 급격히 늘어나는 고령 근로자를 감당하기 어려워 평생 지급하던 퇴직연금에 대한 지원을 축소했습니다. 그러자, 개인들이 주식투자로 눈을 돌리기 시작했습니다. 은행 예·적금의 낮은 수익률로는 노후 생활이 도저히 안될 것 같아서죠.
우리나라 상황도 1980년대 미국과 흡사합니다. 1차 베이비붐세대(1956~1963년생)의 직장 퇴직 시점이 다가오고 있는데, 과거처럼 퇴직금이 두둑한 것도 아니고, 금리도 너무 낮아 예금만으로는 도저히 노후 준비를 기약할 수 없습니다. 그러니 자연 돈이 증시로 몰리는 것이죠. 이런 추세는 40, 50대 인구비중(현재 28%)이 향후 10년간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견되기 때문에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부동산 시장도 마찬가지입니다. 2010년 이후엔 1차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들이 대거 주택 신규 수요자로 등장하고, 그 이후엔 2차 베이비붐 세대(1968~ 1976년생)의 자녀들이 주택수요를 떠받칠 것으로 보입니다. 인구 집중 지역인 수도권 아파트 가격은 쉽사리 떨어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는 대목입니다.
또 전 연령층 중 자산을 가장 많이 보유한 40대 이상 인구 비중이 계속 늘어나는 것은 ‘주택 대체 수요(자녀가 성장함에 따라 더 큰 집으로 이사하는 것)’ 증가 요인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이런 대체 수요는 교육 환경이 좋은 서울 인기 지역 고가 주택에 대한 수요증가로 나타날 것입니다. 하지만, 인기 지역의 주택 공급은 각종 규제로 한정될 수 밖에 없습니다.
정부의 부동산 시장 규제 조치로 집값이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인기지역 아파트’는 계속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은 이런 분석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인구구조 변화에 기초해 장기적 관점으로 주식·부동산에 투자한 뒤 시장 상황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느긋하게 기다리는 자세도 지혜로운 투자 방법 중 하나입니다.